젠가(2019~)

서울의 진화 과정을 어느 공간에 비유한 시리즈다. 이 공간은 한정된 공간을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착취적이며 무계획적인 과정을 겪어왔다. 절대적으로 부족한 물리적 공간이라는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 제한된 공간 안에 테트리스하듯 끼워넣은 건물들이 독특한 구조를 낳았으며, 노후된 건물을 땜질하고 적당히 새로운 건물을 지음으로서 그 때 그 때 위기를 넘겨왔다. 

젠가 게임이 비슷하다. 젠가 게임이 특별한 점은 쌓아진 블록을 빼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하나씩 위로 올린다는 것이다. “나만 아니면 돼” 정신으로 똘똘 뭉친 이 게임은 폭탄돌리기에 가까운 형태를 띤다. 진행이 되면 될 수록 부실해지는 기반과 위태롭게 높아진 높이는 남을 위태롭게 하는 동시에 미래의 나를 위태롭게 한다. 위기를 넘기게 한 나의 신의 한 수는 후에 나를 위태롭게 하는 악수가 될 수도 있다.

진화는 발드시 발전이나 성장을 뜻하지 않는다. 진화중인 공간을 관찰했다. 다만 모순적인 구조의 증명에 집중하는 대신 요소에 해당하는 젠가의 블록들에 더 집중했다.
Jenga(2019~)

Observation of a certain place could be a great metaphor to explain a process of development of Seoul, the most complex city of South Korea. This place endured exploitative, unplanned attitude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developing. To overcome an issue of cramped spatiality, appearances of the buildings became more abstractive, far from typical cuboid shapes, in order to fit in the confined space, just like playing Tetris. 

Then I connected this idea to the process of playing Jenga. Unlike other collapsing games, such as crumbling sand castle with a flag on it, the key concept of Jenga is that the player must put the subtracted block onto the top of the structure. Consequently it results in poor foundation and risky elevated height. In other words, the game is packed with “Better you than me" spirit. A stroke of genius which saved me once may threatens not only other players but also future myself at the same time. 

Evolvement may not always imply a concept of growth or development. I observed the place, undergoing the process of evolvement. What I focused on is the element part which plays the role as Jenga blocks, rather than proving the overall visually ironic structure.
920